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조직개편고려사항
- 출자사관리
- 조직보완
- 프로일잘러가되려면
- chatGPT사용법
- 보고서잘쓰는법
- 2024헌나8
- 리더십
- 경영기획
- 상품기획
- OKR활용
- 사이토다카시일류의조건
- 언어를디자인하라
- 박효신발라드추천
- 겨울노래추천
- 챗gpt
- 아이즈원조유리
- 의사결정
- 프로일잘러
- 인문학관련글
- 중장기전략수립
- M&A
- 블로그광고수익화
- Maranta
- chatGPT
- 나는반딧불노래
- 최강야구
- 서비스기획
- 나는반딧불황가람
- OKR
- Today
- Total
목록2. 프로 일잘러/02. 경영기획 (22)
Trend Specialist

직장인으로... 회사에서... 사업현장에서... 근로자로서... 몸 담고 있다면... 아니 개인사업을 경영하고 있는 1인 사업자라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숫자"이다. 매출이건, 영업이건, 매출총이익이건... 어찌되었던지 가장 중요한 것은 숫자를 보는 눈과 숫자를 관리하는 능력이다. 경영기획에서 숫자를 빼고 이야기 할 수 있을까? 필자는 개인적으로 숫자를 좋아한다. 하지만 잘 하지는 않는다. (수학전공인건 안 비밀...) 전사의 숫자를 관리하는 경영관리팀, 경영기획팀, 재무팀, 회계팀의 경우, 숫자가 모든 업무에 메인이 된다. 각 사업부문, 사업본부에 할당(?)된 숫자를 기반으로 관리와 협업이 이루어 진다. 전략기획이나, 경영기획 업무에서는 현재의 숫자에 기반한 미래에 숫자를 예측하거나 목표 설..

필자는 순수 이과에 컴퓨터공학대학원을 전공한 뼛속까지 공돌이입니다. 이런 제가 전략기획팀을 거쳐 현재 경영기획 업무를 담당하면서 업무적으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경영관련 약어(용어)를 잘 모르면서 아는 척을 해야만 했을 때입니다. 전공을 하지 않더라도 업무를 하려면 필수적인 용어들은 알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야만 대화에 끼어들수.... 아니 고개를 끄덕이면서 아는 척이라도 할 수 있습니다) 경영전략, 경영기획 파트에서 근무하고 있다면 꼭 알아두어야 할 경영관련 용어 모음입니다. 즐겨찾기 하시고 항상 확인하고 있어야 겠죠? (새롭게 알게되면 계속 업데이트할 예정) A Actual, Act 실적 ABC Activity Based Costing 활동 기준 원가 AD Advertising 광고선전 A&..

연결재무제표를 도입한 회사의 연결포괄손익계산서를 보다보면 당기순이익이 두가지로 나뉘는 것을 볼 수 있다. 지배주주 소유주지분과 비지배지분인데, 두 순이익에 대해 알아보자. 지배주주지분순이익은 종속회사의 지분만큼 종속회사의 순이익을 반영한 연결실체의 당기순이익을 말한다. 예를 들어, B시네마와 C게임즈를 종속회사로 가진 A엔터테인먼트의 지배주주지분순이익을 계산한다면(A의 B지분율은 50%, C지분율은 80%이고, 각 회사간 내부거래가 없다고 가정하면), A엔터의 지배주주지분순이익은 'A엔터 당기순이익 + 50%*B시네마 당기순이익 + 80%*C시네마 당기순이익'이 된다. 그리고 전체 연결실체의 당기순이익에서 지배주주지분순이익을 빼주면 그 나머지가 비지배주주지분 순이익이다. 지배회사의 지배를 받지 않는 지분..

은행 등 금융기관이 자산을 운용해 낸 수익에서 조달비용을 차감해 운용자산 총액으로 나눈 수치로 금융기관의 수익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순이자마진에는 예금과 대출의 금리차이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채권 등 유가증권에서 발생한 이자가 포함되며, 유가증권 평가이익과 매매이익은 포함되지 않는다. 실질 순이자마진은 명목 순이자마진에서 충당금 적립률과 운영 경비율을 뺀 것으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은행의 이자부문 수익성 지표다. 이 비율이 마이너스로 내려가면 예금을 받아 대출을 많이 할수록 은행이 손해를 본다는 뜻이다. 금감원은 그 동안 은행의 이자부문 수익성 지표로 원화 예대마진(대출금리-예금 금리)을 사용했으나, 2000년부터 원화는 물론 외화, 유가증권 운용마진 등을 포함한 전체 이자부문 수익성 측정을 위해 순이자..

경영기획 근무와 관련하여, 어떤 일을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오랜시간 전략기획파트와 경영기획파트에서 근무한 경험을 토대로 기본적으로 기획업무란 무엇이며, 기획업무의 종류와 관련된 이야기를 해 보도로 하겠습니다. 여러 직무 중에서 경영기획 직무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영지원 직무 중에서 많은 학생들이 가고는 싶지만 왠지 모를 스펙파티일것 같아서 지원하지 못하는 직무 중의 하나 입니다. 우선, 경영기획 직무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아보고난 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다면 어떤 업무들이 진행되는지 좀더 잘 알수 있을것 같습니다. 정작 경영기획 직무에 대한 이해가 너무 부족한 경우가 많아서 경영기획업무의 종류와 정의에 대한 글을 적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일반적으로 회사의..

경영전략, 경영기획 파트에서 근무하고 있다면 꼭 알아두어야 할 경영관련 용어 모음 입니다. 즐겨찾기 하시고 항상 확인하고 있어야 겠죠? A Actual, Act 실적 ABC Activity Based Costing 활동기준원가 AD Advertising 광고선전 A&M Advertising & Marketing 마케팅비=광고비+판매촉진비 AOP Annual Operating Plan 연간사업계획 A/P Account Payable 외상매입금 A/R Account Receivable 외상매출금 AVG Average 평균 BEP Break Even Point 손익분기점 BM Benchmarking 타사의 우수한 점을 응용하여 적용하는 것 B/M Bill of Material 자재명세서 BOD Boa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