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챗gpt
- 프로일잘러가되려면
- 조직개편고려사항
- 경영기획
- M&A
- 나는반딧불노래
- OKR
- 언어를디자인하라
- 보고서잘쓰는법
- 아이즈원조유리
- 프로일잘러
- 출자사관리
- 중장기전략수립
- 2024헌나8
- Maranta
- 의사결정
- 서비스기획
- 최강야구
- 겨울노래추천
- 리더십
- chatGPT사용법
- 나는반딧불황가람
- OKR활용
- 상품기획
- 박효신발라드추천
- 조직보완
- 블로그광고수익화
- 인문학관련글
- chatGPT
- 사이토다카시일류의조건
- Today
- Total
Trend Specialist
[재무제표] 지배주주순이익 vs. 비지배지분순이익 본문
연결재무제표를 도입한 회사의 연결포괄손익계산서를 보다보면 당기순이익이 두가지로 나뉘는 것을 볼 수 있다.
지배주주 소유주지분과 비지배지분인데, 두 순이익에 대해 알아보자.
지배주주지분순이익은 종속회사의 지분만큼 종속회사의 순이익을 반영한 연결실체의 당기순이익을 말한다.
예를 들어, B시네마와 C게임즈를 종속회사로 가진 A엔터테인먼트의 지배주주지분순이익을 계산한다면(A의 B지분율은 50%, C지분율은 80%이고, 각 회사간 내부거래가 없다고 가정하면),
A엔터의 지배주주지분순이익은 'A엔터 당기순이익 + 50%*B시네마 당기순이익 + 80%*C시네마 당기순이익'이 된다.
그리고 전체 연결실체의 당기순이익에서 지배주주지분순이익을 빼주면 그 나머지가 비지배주주지분 순이익이다.
지배회사의 지배를 받지 않는 지분에 대한 순이익이므로 비지배주주지분 순이익이다.
지배주주지분순이익은 배당성향을 포함한 각종 순이익 관련 지표를 구할 때 이용되는데, 배당성향은 회사가 당기순이익 중 얼마를 주주들에게 돌려주는가와 관련된 항목으로, 총배당금/지배주주지분순이익, 주당배당금/주당순이익으로 구하며 EPS또한 지배주주지분순이익 기준으로 산출되므로, 연결실체의 실질적 의미가 있는 당기순이익을 나타내는 매우 중요한 수치라고 할 수 있다.
지배주주지분순이익을 사용하는 주요지표를 보면
배당성향 = 주당배당금 / 주당순이익
주당순이익(EPS) = 지배주주지분순이익 / 발행주식수
자기자본(ROE) = 지배주주지분순이익 / 지배주주지분
영업이익의 경우는 재무제표 상에 따로 지배주주지분/비지배주주지분으로 나뉘지는 않고 있으며
따라서 어디까지가 지배회사의 영업이익인지, 어디까지를 실질적인 지배회사의 영업이익이라고 할 수 있는지를 (내부거래로 인해 정확하게 따지기는 어렵겠지만)생각해 가면서 파악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지배구조는 영원하지 않기 때문에)
<참고. 지배주주 순이익>
지배주주 순이익은 모 회사의 당기순이익을 계산할 때 자회사 순이익을 모회사의 자회사 지분만큼 반영한 수치를 말한다. 2013년부터 연결 기준 실적을 공시하면서 모회사 당기순이익에는 자회사 순이익까지 포함됐다. 하지만 자회사에 대한 모회사 지분이 50%라면 당기순이익도 50%만 반영해야 실제 지분가치와 부합한다. 지배주주 순이익은 이 점을 반영해 만든 지표이다.
'2. 프로 일잘러 > 02. 경영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기획] 재무회계? 관리회계? 어떤 관점으로 접근해야 할까? (0) | 2023.01.18 |
---|---|
[경영기획/경영전략] 꼭 알아두어야 할 경영관련 약어/용어 모음 (2) | 2022.09.26 |
NIM (Net interest Margin) 순이자마진 (0) | 2022.04.27 |
경영기획 직무란 무엇일까.. (0) | 2022.04.26 |
[경영전략/ 경영기획용어] 꼭 알아두면 유용한 경영 관련 용어 모음 (0) | 202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