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문학책추천
- M&A
- 경영기획
- 조직보완
- 챗gpt
- chatGPT사용법
- 상품기획
- 보고서잘쓰는법
- 인문학관련글
- 애플페이
- 언어를디자인하라
- 프로일잘러가되려면
- 마란타
- 일잘러
- 서비스기획
- OKR
- 출자사관리
- 자기계발서추천
- 의사결정
- OKR활용
- 중장기전략수립
- 최강야구
- 조직개편고려사항
- PDF용량줄이기
- Maranta
- 리더십
- 프로일잘러
- chatGPT
- 식물일기
- 블로그광고수익화
- Today
- Total
Trend Specialist
[인문학] 쇼펜하우어 - 좋은 사람으로 남지마라 본문
사람들이 원하는 나로 평생을 살 수는 없다
사람들의 눈 높이에 나를 맞추려는 것에서 모든 불행은 시작된다.
책,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Arthur Schopenhauer) : 1788.2.22 - 1860.09.21
폴란드에서 출생하고 독일에서 사망한 그는 독일인이다.
그에게 가장 영향력이 있던 철학자는 칸트였고, 그는 많은 철학자들에게 철학에 있어서 많은 영향력을 끼쳤다.
![](https://blog.kakaocdn.net/dn/cAOzqJ/btsKPRRZAoU/XDht8237iZKnQDwIflRv01/img.png)
나는 어쩔 수 없이 나다 내가 나를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면 사람들도 나를 부끄러워하지 않게 될 것이다
살아가면서 주변 사람들의 평가를 마냥 무시할 수는 없다
흔히 타인의 평가는 직장에서 사업에서 만남에서 객관적인 조건이 된다 하지만 참된 행복의 조건을 안에서 찾아야 한다면 타인의 평가는 어쩌면 행복과는 무관할 수 있다
나에 대한 평가가 이뤄지는 타인의 마음은 피상적이며 천박하고 왜곡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대 이상의 좋은 평가를 기대하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타인은 정작 나의 일에 크게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그것은 우리가 타인을 평가하는 방식을 보면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자신에 대한 제 3자의 판단은 객관적이지 않다
특히 칭찬이 아니라 비난인 경우 그 사람의 사고방식을 보면 무식하고 편견이 있고 좁고 빈약한 경우도 있다
그런 평가는 아예 무시하는 것이 더 낫다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자신의 개성에 맞는 일과 생활 방식 직업을 찾아서 능력을 발휘해야 행복할 수 있다
그 반대로 자신의 개성에 맞지 않는 일은 피해야 한다 자신에게 적합하고 자신이 성취할 수 있고 향유할 수 있는 것을 모른다면 불행해진다고 했다.
그가 한 말중에 몇 가지.. 를 옮겨보려고 한다.. 진짜 찰떡같이 그렇구나.... 하는 말들이다..
무언가의 가치를 알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그 무언가를 잃게 되는 것이다.
The best way to know the value of something is to lose it.
사람은 혼자 있을 때야 비로소 자신다워질 수 있는 것이다.
Only when a person is alone can he become himself.
사람은 자신이 가진 것에 대해서는 거의 생각하지 않고 항상 자신에게 부족한 것에 대해서만 생각한다.
People rarely think about what they have and always think only about what they lack.
모든 사람들은 이 세상의 한계를 통해 자신의 비전의 한계를 정한다.
Everyone sets the limits of their vision through the limits of this world.
돈이라는 것은 바닷물과 같다. 더 많이 마시면 마실수록, 더 갈증이 나는 것이다. 그리고 명성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Money is like seawater. The more you drink, the thirstier you are. And fame is the same.
'6. 인문학 따라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문학] '사고'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무례한 사람이 될 각오를 해야 한다 (0) | 2025.01.20 |
---|---|
[인문학] 조조 - 조조에게 배우는 사람을 다루는 4가지 방법 (2) | 2024.11.20 |
[인문학]알베르 카뮈 - 인생을 보는 5가지 시각 (0) | 2024.11.19 |
[인문학] 방정환 - 어린이를 누구보다 사랑한 사람 (1) | 2024.11.12 |
[인문학] 법정스님 - 함부로 인연을 맺지 마라 (4)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