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문학관련글
- 상품기획
- chatGPT
- 나는반딧불황가람
- 보고서잘쓰는법
- 조직보완
- 경영기획
- 서비스기획
- 챗gpt
- OKR
- 사이토다카시일류의조건
- 아이즈원조유리
- 2024헌나8
- 나는반딧불노래
- 프로일잘러
- 조직개편고려사항
- 중장기전략수립
- 리더십
- M&A
- 겨울노래추천
- OKR활용
- Maranta
- 박효신발라드추천
- 의사결정
- 출자사관리
- 블로그광고수익화
- 프로일잘러가되려면
- 언어를디자인하라
- 최강야구
- chatGPT사용법
- Today
- Total
Trend Specialist
'지브리' 프사 AI 슬롭 현상의 시작? 본문
요즘 카카오톡 프사를 보면 모두 하나같이 지브리풍 프사가 가득합니다.
처음에는 신박하고 멋있고 분위기 있고 잔잔한 느낌마저 들었는데
다시 생각해보면 특색없고 모두 똑같아 보인다는 "별로"라는 느낌마저 듭니다.
하지만, 그래서 저도 만들어 봤습니다.

지브리 스타일... 저도 한번 만들어 봤네요

스누피 스타일.. 저도 한번 또 만들어 봤어요..
AI 생성물의 급증은 인터넷의 콘텐츠 품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며, 이는 신뢰성 문제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AI가 만들어낸 이미지와 정보가 웹에 넘쳐나면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다루며, AI 생성물의 구분과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결국, AI의 발전이 인터넷과 AI 모델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Open AI의 반응은?

출저 : AFP
샘 알트먼 오픈 AI CEO는 3월 27일 자신의 X(트위터)에서

It's super fun seeing people love images in chatgpt.
but our GPUs are melting.
챗GPT에서 사람들이 이미지를 좋아하는 모습을 보는게 정말 재미있지만,
우리의 GPU가 녹고있다.
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에는 이미지 생성에 제한이 걸려 있는 상태이다.
얼마나 많은 이미지들이 만들어지고 있을까?
IT 전문 업체 에브리픽셀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3년까지 AI가 생성한 이미지는 154억 7천만 개 나 된다고 합니다. 이는 하루 평균 3,400만 개의 이미지가 생성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AI 활용에 있어서 긍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이렇게 만들어 내는 AI가 만든 이미지들은 유쾌한 것과 불쾌한 것도 분명이 혼재되어 있다는 느낌마저 듭니다. 예전부터 독특함과 기발함 때문에 핀터레스트를 많이 활용하고는 했는데 요즘에는 핀터레스트에 올라오는 이미지들도 모두 AI가 만들어 내는 결과물로 도배가 되어 점점 그 본질 자체를 잃어가고 있는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AI Slop.. 결과물들이 Slop이 되는 순간 우리가 누릴수 있는 것은 끝난다.
최근에는 AI 슬롭(Slop)이라는 단어가 많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원래 slop이란 음식물 쓰레기, 음식물 찌꺼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농부들이 돼지에게 주는 사료형태의 먹다남긴 음식 찌꺼기를 말하기도 합니다.

예전에 인터넷이 처음 생겼을때.. 가장 각광을 받았던 서비스중에 하나가 이메일 이었습니다.
이메일 하나로 세상을 통일하고 빠르고 편하게 연락을 할수가 있었죠.
이메일 서비스가 확산이 되자
사람들은 이메일 서비스에 올라타서 스팸을 막 뿌리기 시작했습니다.
간편하게 그리고 불특정다수에게 막연하게 뿌려져서 하나만 걸려라~ 라는 느낌의 창작물이었죠.
'AI 슬롭'이라는 용어가 등장, 이는 쓸모없는 AI 콘텐츠를 의미합니다. AI 생성물의 퀄리티가 높아지면서 불쾌한 콘텐츠의 노출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합니다.
끝으로
2025년 시작과 함께 쳇GPT(OpenAI)를 시작으로 제미나이(구글), 퍼플렉시티(퍼플렉시티), 에이닷(SKT), 라이너(라이너), CLOVA X(네이버)... Deep Seek(딥시크) 등 하루가 다르게 AI 모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image FX
AI를 활용하는 것은 정말 그 편의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누군가의 창조적인 저작권을 침해한다거나 정치적 성향으로 가짜뉴스를 만들어 낸다거나.
과거의 스팸메시지 처럼 무분별한 홍보/마케팅의 목적으로 활용된다면
오히려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더 많아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됩니다.
결과적으로 AI 생성 콘텐츠에 대한 명확한 구분 시스템 구축과 규제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윤리적인 사회적인 이슈를 침해하지 말고,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AI 모델이 자멸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AI 모델의 붕괴를 막았으면 합니다.
'1. Trend 따라잡기 > 06. IT.Tech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17 디자인 유출 및 출시일 정보(아이폰에어 소식까지) (0) | 2025.03.25 |
---|---|
아이폰15 공개, 아이폰15 출시 '원더러스트' 핵심 내용 총정리 (38) | 2023.09.13 |
[IT트렌드] AI시대 LLM 활용에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필요한 5가지 이유 (0) | 2023.07.12 |
[chatGPT] chatGPT 현재 상황..... (0) | 2023.04.12 |
[ChatGPT] Chat GPT가 작성한 블로그용 자기소개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