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aranta
- 프로일잘러가되려면
- chatGPT
- 자기계발서추천
- chatGPT사용법
- OKR활용
- PDF용량줄이기
- OKR
- 인문학책추천
- 식물일기
- 프로일잘러
- 출자사관리
- 챗gpt
- 조직보완
- 서비스기획
- 의사결정
- 언어를디자인하라
- 조직개편고려사항
- 블로그광고수익화
- 경영기획
- 최강야구
- 인문학관련글
- 중장기전략수립
- 보고서잘쓰는법
- 일잘러
- 리더십
- 상품기획
- M&A
- 애플페이
- 마란타
- Today
- Total
목록일잘러 (2)
Trend Specialist
조직생활 관련하여서는 실제로 제가 근무하고 있는 조직에서 일어나는 일을 바탕으로 글을 작성합니다.!! 오늘 저와 같은 팀에서 근무하고 있는 제 동료가 저에게 불만을 털어놓았습니다. 옆 팀에 담당자에게 업무요청을 했는데.. 본인이 원하는 자료가 회신 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이 동료의 불만은.. 매년 같은 자료를 요구하는데 매년 처음 듣는 것처럼 회신한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더 불만인 것은 담당자의 인식인데. 요청한 사항으로 회신했는데 뭐가 문제냐는 반응이었다고 합니다. Q. 여기서 질문.. "누가 잘못했을까요?" A. 정답은 "아직은 알수 없습니다.. "입니다. 조직생활에서는 절대로 한사람의 말만 들어서는 안됩니다. 또한 객관적으로 어떤 커뮤니케이션이 오고 갔는지 두사람 말고는 알수 없습니다. 그리고 조직..
업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성과입니다. 개개인의 업무적 특색이 다 다르고 개인별로 성과 또한 다를수 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장에서 보면 유독 일잘러와 일못러가 나뉘어지고, 일잘러 중에서도 유독 고성과자가 있습니다. 성과란 모든 직원이 동일하게 기여하기보다는 보통 몇몇 일잘러 직원이 더 크게 기여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게 되는데 우리는 이들을 일잘러(혹은 고성과자)라고 합니다. 필자가 생각하는 리더의 리더십은 모든 이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내에서는 일잘러에게 일이 몰리게 되어 있습니다. 급하고 중요한 일일수록 어쩔수 없이 일잘러에게 일이 맡겨지곤 합니다. 이는 리더가 업무분장을 평소에 잘 한다고 해도 어쩌면 일 잘하는 사람에게 일이 더 맡겨질..